꼼로그 본인이 복습하기 위해 적은 글입니다.
글을 보시는 분 모두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.
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
서로에게 좋은 공부가 되길 바랍니다 :D
특별공급 : 살면서 한 번 쓸 수 있는 특공
* 관심 갖고 봐야 할 특공 : 1. 생애최초 2. 신혼특공
> 생애최초 : 경우 살면서 한 번도 집을 산 적이 없어야 함 (세대원 모두/ 만60세이상 부모님 예외)
> 신혼특공 : 혼인신고 이후로 한 번도 집을 산 적이 없어야 함
> 생애최초 당첨된 후에 결혼하고 신혼특공을 쓴다면? 했으나 특공은 살면서 한 번 뿐이라 안됨
민간분양과 공공분양 각각에 특별공급 비율
공공분양/국민주택 (납입인정금액) |
60m2이하 : 3년이상 무주택 세대구성원 + 부동산,자동차, 소득 요건(일반O 특공O) 60m2초과 : 부동산,자동차,소득 요건 (일반X 특공O) ▷입주시까지 무주택 세대 구성원 유지 : 일반O 특공X ▷전매 제한 기간에 매도 해야하는 상황이 생기면 분양처(LH 등)에서 매각해줌 |
||
특별공급 | 85% | 신혼특공 30% | |
생애최초 25% | |||
일반공급 | 15% | ||
민간분양/민영주택 (예치금) |
|||
특별공급 | 공공택지 : 58% 민간택지 : 50% |
신혼특공 20% | |
생애최초 15% | |||
일반공급 | 공공택지 : 42% 민간택지 : 50% |
점점 특별공급 비율을 높이는 상황
해당된다면 꼼꼼하게 공부한 후 지원해야한다!
신혼특공 : 민간분양 vs 공공분양
공공분양 | 민간분양 | |
신혼특공 | ▷ 신특은 84m2 이하만 공급 ▷ 9억 초과 주택의 경우 특별공급 X ▷ 혼인기간이 7년 이내 ▷ 같은 순위에 경쟁이 있는 경우 > 당해, 자녀수 |
|
|
|
생애최초 : 민간분양 vs 공공분양
공공분양 | 민간분양 | |
생애최초 | ▷ 최근 1년 포함 5년치 소득 신고가 있어야 함 (연속적이지 않아도 됨) ▷ (평생 주택 소유한 적 없는) 무주택 구성원 + 세대주가 청약 ▷ 24개월 24회차 납부 |
|
|
|
특별공급의 신혼특공과 신혼희망타운에 대한 비교와 고민도 했는데,
신희타의 경우 정해진 대출을 이용해야하고 이익공유제라는것
그리고 역세권에서는 조금 떨어진 입지가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한다.
(특별공급 중 민간분양의 경우는 입지가 좀 더 좋으니..)
그럼에도불구하고 분양가가 싸게 나온다면 고민할 필요없이 Go! 하겠지만,
신희타도 결국 3년이내 2자녀 싸움이기 때문에 잠시 뒤로 밀어두고,
가능성이 높은 특공에 타입으로 분석+청약해야지.
'금융경제 > ㄴ청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청:아] 4강 3기 신도시, 사전청약 (0) | 2021.06.07 |
---|---|
[청:아] 3강 청약 당첨 전략 11계명 (0) | 2021.06.07 |
[청:아] 1강 청약기초 (청약홈 세대원등록/ 투기과열지구/전략세우기): (0) | 2021.05.26 |
[공고] 화성 봉담자이 라피네 / 화성시 우선공급 100%, 거주의무x (0) | 2021.05.16 |
[공고] 동탄 2신도시 동탄역 금강펜테리움 (서울,수도권 50%) (0) | 2021.05.16 |